fail2ban이란? 여러 곳에서 ssh를 이용하여 원격 접속을 하는 경우, 원치 않는 사람이 서버에 무단으로 로그인 시도를 할 때 차단해 주는 것을 말한다. fail2ban의 작동원리 로그 파일을 읽어들여 비정상적이게 접근하는 IP들을 운영체제의 방화벽 규칙에 추가한다. 설치환경 : CentOS 1) 설치 # CentOS의 추가 저장소인 EPEL(Extra Packages for Enterprise Linux yum)을 설치한다. rpm -Uvh https://dl.fedoraproject.org/pub/epel/epel-release-latest-7.noarch.rpm # epel 저장소에서 fail2ban을 설치한다. yum --enablerepo epel install fail2ban # 위와 동..
DML DML 이란? : DML(Data Manipulation Language)는 ‘데이터를 조작하는 명령어’ 이다. 여기서 조작은 데이터 관점에서 생명 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 - DML 명령어구분DML 명령어내용데이터 생성INSERT삽입 형태로 신규 데이터를 테이블에 저장데이터 조회SELECT테이블의 내용을 조회데이터 변경UPDATE테이블의 내용을 변경데이터 삭제DELETE테이블의 내용을 삭제 DML 명령문- 데이터 삽입(INSERT) :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한 명령어형태INSERT 명령문AINSERT INTO 테이블이름 (컬럼1, 컬럼2, ···) VALUES (값1, 값2, ···);BINSERT INTO 테이블이름 VALUES (값1, 값2, ···); - 데이터 조회(SEL..
DDL 개요 DDL 이란? : DDL(Data Definition Language)은 ‘데이터를 담는 그릇을 정의하는 언어’ 이다. - DDL 대상 : DDL을 통해 정의할 수 있는 대상, 오브젝트 유형 DDL 대상 설명 비고 스키마(Schema) - DBMS 특성과 구현 환경을 감안한 데이터 구조 - 직관적으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이해 가능 DBMS마다 차이 도메인(Domain) - 속성의 데이터 타입과 크기, 제약 조건등을 지정한 정보 예를 들어, 주소를 VARCHAR(120)로 정의 테이블(Table) - 데이터 저장 공간 뷰(View) - 하나 이상의 물리 테이블에서 유도되는 가상의 논리 테이블 인덱스(Index) - 검색을 빠르게 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 - DDL 명령어 구분 DDL 명령어 내..